2022 주식 투자 후 배운 교훈 및 내년의 계획
배움1. 나의 시드머니에 맞는 주식을 찾자.
나의 최적의 주당 주식 가격은
8000원 이상 ~25000원 이하선
나에게는 많은 시드머니가 있는게 아니라
저축을 하는 개념으로 접근해야 하므로 매달 얼마씩
지금 잔고가 늘면서 투자할 예정이다.
물론 적금도 같이 병행하면서 점점 시드머니를 불리는 목적.
배움2. 주거래 하고 있는 주식계좌에서 타계좌로 이체하지 말 것!
공모주가 증권사 마다 다 다르고 중간에 은행계좌로도 이체를 해서 대략 매수매도 정리후 손실한 금액은 대략 알고 있지만
시드머니가 얼마나 없어졌는지 체감하기 쉽지 않다.
현재 총매입 3,498,974원 매월 20만원씩 넣을 예정.
일단, 내년 12월 나의 주식 주거래 계좌인 NH투자증권 추정자산 500만원 목표
배움3. 나에게 맞는 주식 종목 발굴할 방법을 찾아라.
올 한해 외국인, 기관 매수 종목 매매, 거래량및 차트보고 매매, 상승 종목 정리후 매매 등 단타를 많이 시도해봤지만
나에게는 모두 꽝!! 긴장감 통제가 되지 않는다.
나에게 맞는 방법은 기업 공부로 종목 선정하기
물론 아직도 기업 공부시 어떤 수치를 적용해야할지는 내년까지 공부를 더 해봐야하고 아직 더 경험을 해야하는 부분이 많을꺼라고 예상된다.
1. 관심있는 테마에서 기업 선정
방법. 네이버 증권, 증권플러스앱 이용
방법. 거래일 상승종목 엑셀 파일 정리후 아래에 정한 기준선에서 부합한 종목 찾기
2. 현재 적용하고 있는 항목들
올해 하반기에 했던 관심있는 테마(사업 분야)에서 기업을 분석하고
내가 접근할 수 있는 가격
3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증가되는 기업 선정
적절한 부채율인지.
동일 업종의 per+ EV/EBIT 비교
1년 차트에 매물대와 현재 가격비교및 envelope line 비교
관심 있는 종목의 주식을 1주 정도는 사둘 수 있지만 집중 매수하는 종목은 5개 이내로 진행할 것
배움4. 매매시 본인의 기준선 만들기
매매는 배움3에서 정한 항목에 가장 최적의 종목을 선정한 후 매수후 손절하는 부분과, 매도하는 부분의 가격선을 선정해야한다.
올 한해 진행한 부분에 대해서 나는 손실난 종목에 대해서 참 미련이 많고, 일단 손절은 질질 끌다가 큰 손해를 보는 타입 ㅋㅋㅋ
배움3에 2번을 적용하는 불안감이 좀 없어진 편이라 지금은 수익률 10% 이상시 매도를 하고 있다. 물론 조금 더 실력이 는다면 매수시 매도할 가격을 선정해놓고 모으겠지만 기업 공부후 내년에는 차트를 보는것도 공부할 예정이다. 아마 계속 시행착오를 겪는 경험이 필요하겠지만 그래도 해야하는거라. 차트를 보고 단타가 아니라 내가 매수할 가격을 선정하는 부분 매도하는 부분 또한 분할 매도할 가격선을 정하는 공부를 할 예정이다.
숙제: 나에게는 일단 수익률 %로 추가매수, 분할 매도의 기준선을 잡을 예정이고, 다음주까지 선정할 예정이다.
배움5. 매수, 매도의 가격에서는 긴장감에 타협해서 가격을 조정해서 매수, 매도하지 말 것. 항상 내가 원하는 가격은 온다.
어차피 내가 사고 싶던, 내가 팔고 싶던 가격은 온다.
오늘 아니면 안된다는 생각으로 높은 가격에 매수하거나, 이거 떨어지나? 하는 급한 마음에 매도할 필요가 없다.
사고 싶은게 있었음 기달리면 그 가격이 온다.
오늘 못 팔면 내일 팔면 되고, 오늘 못 사면 내일 사면 된다.
배움6. 노는 예수금을 제발 아까워하지 말아라.
매도후 자금이 남거나 계좌에 남아있는 예수금이 노는 꼴을 못봐서, 나름 효율성을 따지면서 그걸 또 엉뚱한 곳에 넣는다.
괜히 급해서 비슷한 업종의 왜 이 종목은 저평가지? 하고 마음이 동해서 매수하지 말것 !
좀 아니다 싶으면 매수 안하는게 마음고생이 적다.
그리고 관심종목에는 항상 여분의 종목을 넣어놓고, 모든 항목이 괜찮지 않으면 매수 보류.
숙제: NH투자증권 CMA관련 다음주까지 공부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