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중/2022 1회차 공부(21.09.28~22.12.31)

2022년 3월 주식 매매일지 - 배움2. 나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라.

by 0826 2022. 12. 24.
728x90

 

 

 

22.03월 매수매도일지.xlsx
0.03MB

3월 22일 다이어리에 적어놓은 글을 보니 단타를 시작한 요일이 22일부터인가보다. 

그리고 이거 5월달 다이어리니깐...

 

나의 단타는 총 3가지 방법으로 진행했었다. 

 

1번 외국인, 기관 매수 정리후 매수>> 근데 도대체 어떤 기준으로 사야하는지 ... 잘 모르겠었다. 

 

2번 장시작후 3분봉을 띄어놓고 .. 그래프 보고 매매하는건데... 

아무리 많은 영상을 봐도 미련이 많은 나에게 손절과, 내가 할 수 있으면 대한 민국 국민 모두가 할 수 있지, 고작 주식 6개월 매매 놀이 하던 내가 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였다.  그냥 나에게는 도박과 같은 느낌 안 맞는다는 결론이였다.

 

3번 매일 매일 상승종목 정리후 나에게 맞는 금액+ 재무표 참고, 거래량 터진 기업을 보고 매매

 

결론. 나에겐 단타가 맞지 않다. 

 

배움2. 나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라.  (기업찾기 + 기준 수익률 정하기)

단타는  손절하는 부분및 100원 200원 재미보고 나온 수수료 등이 나에게는 맞지 않는 방법이였다. 는 결론이다. 

 

하지만 단타를 하면서 배운 부분은 세상에는 많은 기업이 있다는 거였다.

 

공부한 종목은 불안감이 없는데 그냥 휩쓸려서 사면 불안감이 증폭되어서 어느순간 자포자기 심정이 되므로 내가 찾은 방법은 기업공부이다. 

 

기업공부는 2가지 방법을 주로 하고 있다. 

 

1. 하루 상승종목 엑셀로 정리해서 가격(8,000~25,000) + 시가총액(1500억원 이상)+ 재무재표(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증가기업) + per+ EV/EBIT + 차트에서 ( 1년치 정도 그래프에서 매물대 , Envelope중간선 아래에 가격이 있는) 기업을 선정에서 관심종목에 넣는다. 그리고 그 기업이 하는일은 네이버 증권 들어가서 찾아서 메모해놓는다. 

 

2. 종목플러스라는 앱을 통해 국내 테마 검색후 관심있는 테마에 속한 기업을 공부한다. 

물론 그 기업 중에  1번의 수치는 다 같이 비교하고, 매출증가율, 이익증가율이 마이너스 나는 기업은 제외한다. 

 

지금은 기업 분석이 초보 주린이 수준으로 끝난 기업을 모으고 있는 중이다.

 

계좌에 있는 종목은 10개~20개 사이인데

 

10월까지는 모으고 있는 종목 10주 모으기였는데... 지금은 모으는 종목에 대한 믿음이 좀 생겨서 

 

모으고 있는 종목은 5정도 이하, 종목당 100주 모으기를 목표로 하고 있고 더블어 기본 수익률 10%를 기준 분할 매도하기로 세워놨다. 

 

물론 몇주 안샀는데 기준 수익률 넘어가면 그냥 매매, 그리고 다시 조정 받을때 산다. 

 

 

물론 내년 결산보고때는 또 다른 얘기를 쓰고 있을지 모르겠지만.. 

 

나에게는 올해 2,3월이 격동의 기간이였다. 

728x90

댓글